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https
- map차트
- tableau
- 색상코드
- 클라우드
- >>
- SSL
- 배치파일
- batch
- Data Analysis
- 하드웨어
- AWS
- 테이블만들기
- Network
- 맵차트
- 파이썬
- 태블로
- 선형회귀
- dns
- 방화벽
- SAML
- SSO
- 날짜 함수
- Linear models
- MySQL
- HTTP
- SQL
- SQL 테이블 삭제
- SSO인증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36)
SeaForest

1. AWS란? Amazon Web Service 서버, 네트워크 등 인프라 전체를 빌려주는 서비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서 AWS가 제공하는 서비스 만으로 필요한 기능을 대부분 구축 가능 대표적인 서비스 : Amazon EC2, Amazon S3 과거에도 서버를 빌려주는 서비스는 있었으나, AWS는 여러 사업자에게 각각 빌려야 했던 인프라를 일괄로 빌릴 수 있다는 것과 운영체제나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에 필요한 소프트웨어까지 통째로 사용할 수 있음 https://aws.amazon.com/ko/?nc2=h_lg 클라우드 서비스 | 클라우드 컴퓨팅 솔루션| Amazon Web Services 개발자,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솔루션스 아키텍트 또는 AWS에서 구축하는 방법을 배우는 데 관심이..
1. IP (=Internet Protocol) - 컴퓨터를 찾을 때 필요한 주소 (=컴퓨터 주소, 집주소와 비슷) - 컴퓨터 간의 네트워킹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규약 - 데이터 통신을 위해서는 IP 주소가 필요함 (데이터 통신 = 편지를 주고 받는 것과 비슷) - 예를 들어 유튜브를 본다고 하면, 유튜브 서버도 IP 주소가 있어야 하고, 내 컴퓨터에도 IP 주소가 있어야함 - IP 주소는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연결이 될 때, 그때 정해짐 - 예를 들어 카페에 가서 공유기 비밀번호 입력해서 와이파이 연결 → 와이파이 공유기는 내 컴퓨터에 IP를 할당해줌 - IPv4 : 10.210.32.40 과 같이 4개로 구분된 10진수의 숫자로 표시 - 개인적으로 사용할 경우 IP 주소는 유동적으로 할당되는 것이 일반..
배치(Batch)란? -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는게 아니라 일괄적으로 모아서 대량으로 처리하는 작업 - 사용자의 개입 없이 정해진 특정한 시간에 실행할 수 있는 작업 - 컴퓨터 프로그램 흐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자료를 처리하는 방식 - 업무의 효율성과 비효율적인 시스템의 과부하를 줄이기 위해 사용 - 배치 파일 만드는 방법 : 메모장 등 텍스트 에디터를 주로 사용하고, 명령어 입력 후 .bat 으로 확장자명 변경 - 사용 예 : 대량 데이터 처리, 대량 인쇄, 일괄 이미지 처리, 백업 데이터 생성, 일괄 데이터 변환 등

1.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서로 다른 시스템들 사이에서 통신을 주고받게 하는 가장 기본적인 프로토콜 (참고) 프로토콜 (= 약속, 통신 규약) - 서버에서 브라우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용도로 가장 많이 사용함 - 단점 : 서버에서 브라우저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정보가 암호화 되지 않는 문제가 있음 - 크롬에서 주소창에 그냥 'google.com'을 입력하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http://'를 입력하지 않아도 접속 가능. 즉, 크롬에서 디폴트는 'http://'이기 때문에 'https://'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앞에 'https://' 입력해야함 - 기본 포트 : 80 2. HTTPS - https = http over SSL = http + SSL - ..

1. Linear Models(=선형 회귀)란? - 종속변수 y와 독립변수 x와의 선형 상관관계를 모델링하는 회귀분석 기법 - 단순선형회귀 : 한개의 독립변수에 기반한 경우 - 다중선형회귀 : 둘 이상의 독립변수에 기반한 경우 2. OLS(=최소자승법,Ordinary Linear Squares)란? - 오차를 최소화 시키는 방법으로 회귀 계수를 추정하는 기법 3. R-squared (=결정계수) - 독립변수가 종속변수를 얼마만큼 설명해 주는지를 가리키는 지표 - 결정계수가 높을수록 독립변수가 종속변수를 많이 설명한다는 의미 - 독립변수의 수가 증가하면 상승함 >> 그래서 종속변수를 잘 설명하지 못하는 독립변수가 추가되면, 독립변수의 수가 증가해서 결정계수도 같이 증가하기 때문에 결정계수 만으로는 회귀모델..
1. 데이터베이스 만들기 CREATE DATABASE ; 데이터베이스란 여러 테이블을 저장해두는 저장소를 의미함 MySQL에서는 데이터베이스를 스키마라고 생각해도 상관 없음 (DBMS에따라 데이터베이스와 스키마를 동일한 개념이라고 보지 않는 경우도 있음) 컴퓨터에서 여러개의 파일을 묶고 있는 '폴더'와 비슷한 개념, 컴퓨터에서도 폴더를 먼저 만들고 파일을 생성하는 것처럼 보통 데이터베이스를 먼저 만들고 테이블을 생성함 예시 '성적'이라는 데이터베이스 생성 CREATE DATABASE 성적 ; 2. 테이블 만들기 CREATE TABLE ( , , , ...) ; CREATE TABLE문을 사용하여 테이블 생성 CREATE TABLE문으로 테이블을 만든 후 칼럼을 추가하고 싶은 경우에는, alter tabl..
항공 통계 > https://www.airportal.go.kr/knowledge/statsnew/main.jsp# KT 통신 빅데이터 플랫폼 > https://bdp.kt.co.kr/invoke/SOKBP0000/ 서울시 공공데이터 > http://data.seoul.go.kr/dataList/datasetList.do 캐글(kaggle) > https://www.kaggle.com/ data.world > https://data.world/makeovermonday?entryTypeLabel=dataset&tab=resources 통계청 > https://kosis.kr/index/index.do e-나라지표 > https://www.index.go.kr/main.do 기상자료개방포털 > https:..

1. DB란? - 넓은 의미 : 여러 사람이 공유하고 사용할 목적으로 통합 및 관리되는 데이터 저장소 - 좁은 의미 : 테이블을 저장해두는 저장소 2. DBMS란? -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프로그램, 즉 DBMS를 통해 데이터를 넣거나 가져올 수 있음 - 필요한 이유 : 사용자는 DB에 절대 직접적으로 접근할 수 없으며 반드시 DBMS를 활용해서 DB에 접근할 수 있음 - 종류 : Oracle, MSSQL, MariaDB, MySQL 등 - DBMS의 종류가 여러개이다 보니 각 DBMS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모두 표준 SQL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DBMS에서 공통적으로 모두 사용 가능함, 따라서 SQL 공부를 위해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