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Forest

URL 구조 정리 본문

Computer Science

URL 구조 정리

seaforest 2022. 10. 5. 01:17

출처 : https://velog.io/@heony/URL

 

1. 프로토콜

  • 사용자가 서버에 접속할 때, 어떤 방식으로 통신할 것인가에 대한 부분
  • 대표적인 예시 : http / https
  • (참고) 이 외에 다른 프로토콜 유형

 

 

2. 도메인 네임 혹은 호스트

  •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를 가리키는 주소
  • <ex> www.naver.com
  • (참고) 도메인은 서브 도메인 / 도메인 명 / 최상위 도메인의 구조를 가짐

출처 ; https://www.beusable.net/blog/?p=4507

 

3. 포트번호

  • 한 대의 컴퓨터에 여러개의 서버가 있을 수 있음
  • 포트번호로 클라이언트가 접속했을 때, 어떤 서버와 통신할지를 결정함
  • 표준 http 포트를 사용한다면 포트 번호가 생략됨 (http의 경우는 80, https는443 생략)

 

4. 패스(=Path)

  • 그 컴퓨터 안에 있는 어떤 디렉토리에 어떤 파일인지를 의미함
  • 웹 서버에서 리소스에 대한 경로

 

5. 매개변수(=parameter, query string)

  • key(파라미터의 이름) = value(파라미터의 값) 형태
  • ?(물음표) 뒤에 나열, & 기호로 구분하여 여러개 존재 가능
  • 대/소문자 정확하게 구분

 

6. 앵커(=anchor, fragment)

  • 세부 항목에 대한 책갈피 역할
  • 스크롤 이동 없이 바로 해당 위치로 이동
  • ex.  https://ko.wikipedia.org/wiki/대한민국#문화
    >> 대한민국 검색 결과에서 바로 '문화' 카테고리로 스크롤 없이 바로 이동 가능

 

 

 

https://www.beusable.net/blog/?p=4507 

 

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초, URL 이해하기 | 뷰저블

데이터 분석을 위한 URL

www.beusable.net

https://velog.io/@heony/URL

 

URL 구조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의 구조에 대해 알아보기

velog.io

 

'Computer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파이썬 설치, IDLE 의미  (0) 2023.01.08
하드웨어란?  (0) 2022.12.28
방화벽이란?  (0) 2022.07.23
SSO(Single Sign-On,싱글사인온)  (0) 2022.07.23
[Network] DNS란?  (0) 2022.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