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하드웨어
- 배치파일
- 맵차트
- Data Analysis
- 클라우드
- 테이블만들기
- 선형회귀
- >>
- map차트
- SAML
- https
- SSL
- AWS
- SSO인증
- Linear models
- 태블로
- dns
- 파이썬
- tableau
- 방화벽
- SQL
- SSO
- HTTP
- Network
- 색상코드
- MySQL
- batch
- SQL 테이블 삭제
- 날짜 함수
Archives
- Today
- Total
SeaForest
[Network] DNS란? 본문
1. DNS란
- DNS = Domain Name System
- 인터넷 전화번호부
-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도메인 이름(예:www.amazon.com)을 컴퓨터와 같은 기계가 읽을 수 있는 IP주소로 변환하는 것
- IP를 외우는 것보다 도메인 주소로 외우면 편하기 때문에 만들어진 시스템
- 컴퓨터는 naver.com 같은 도메인을 이해하지 못함. IP가 있어야 컴퓨터를 찾을 수 있음. 도메인은 IP 주소를 대신하여 사용하는 주소를 의미함.
- 컴퓨터는 ip주소 없이는 어떤 웹페이지도 열 수 없음, 주소창에 'www.naver.com'이라고 입력해서 네이버 사이트를 볼 수 있는건 DNS 덕분
- DNS란 웹사이트의 IP 주소와 도메인 주소를 이어주는 환경/시스템
- DNS라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IP와 도메인을 매칭함
2. DNS 동작 방식
- 먼저 'www.naver.com' 이라는 hostname에 대한 ip 주소 요청
- Local DNS에 'www.naver.com' 이라는 ip 주소가 있으면 거기서 끝나고, 만약에 Local DNS에 해당 ip 주소가 없으면 다른 DNS서버와 통신 시작
- Root DNS서버(전세계에 13개만 있음)에게 'www.naver.com' 의 ip 주소 요청 → ip 주소가 등록되어 있다면 이 단계에서 끝남. 만약 ip 주소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다시 Local DNS 에게 'www.naver.com' 에 대한 ip 주소를 알 수 없으니까 다르 서버에게 물어보라고 응답
- 다음으로 com도메인을 관리하는 DNS 서버에게 'www.naver.com'에 대한 ip 주소를 요청 → 찾을 수 없으면 com도메인을 관리하는 DNS 서버는 Local DNS 서버에게 다른 DNS 서버에게 물어보라고 응답
- Local DNS 서버는 이제 naver.com DNS 서버에게 다시 'www.naver.com'의 IP 주소를 요청
3. 내부 Local DNS 정보 변경 방법
- Hosts 파일 내용 수정 → IP 주소와 사용자 정의된 도메인 이름 정보 입력
<형식> [연결하고 싶은 IP 주소] [도메인] - Hosts 파일 경로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Computer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화벽이란? (0) | 2022.07.23 |
---|---|
SSO(Single Sign-On,싱글사인온) (0) | 2022.07.23 |
[AWS] AWS란? 클라우드,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0) | 2022.03.28 |
[Network] IP란? 포트(Port)란? (0) | 2022.03.23 |
배치(Batch)란? (0) | 2022.03.19 |